제조원가 절감 활동에서 물류 업무 혁신 활동은 중요하다. 최근에는 제4의 원가절감 요소로 까지 이야기하고 있으니 관심이 높다. 유통업을 중심으로 검토하는 것과 제조활동에서 물류를 이야기하는 관점은 다르다. 물류를 제조 물류와 상품 물류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공장에서 제품 출하부터 고객에게 도착할 때까지를 상품 물류로 구분짓는다고 하면 원자재를 조달하여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출하 준비까지를 제조 물류로 구분할 수 있다.
제조 물류든 상품 물류든 동일하게 신속한 흐름과 Lay-Out 개선의 목적은 Material Handling이라고 한 것처럼 Handling 방법과 횟수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제조 물류에서 물의 흐름과 Handling을 도표로 기술하여 보라.(VSM 작성을 Detail하게 하여도 좋다.)
첫째는 하역 활동 측면에서 검토이다.자재를 공장으로 출하하여 공장까지 차량으로 운송을 하여야 하니 트럭에 싣는 상차 과정이 있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상차를 하기 위해 지게차를 사용하거나 Dock 시설을 활용하여 운반을 한다고 하면 상자단위보다는 Pallet 단위 또는 대차 단위로 묶음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물류 용어에서는 하자(荷姿)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하자 단위가 다양한 포장 용기를 한단위로 묶음을 잘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하자 단위와 상자와의 관계를 표준화하여 KS화하여 활용을 권장하고 있다. 공장에 도착하면 역으로 차에서 내리는 하역이 발생한다.
두번째 검토할 사항은 운송 활동인데 주로 차량에 얼마나 많은 량을 싣을 수 있는지이다. 우리나라 트럭 폭은 2.4m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유는 Pallet 폭을 1.2m로 표준화하였기 때문이다. 도로를 주행할 때 육교, 철교 등을 피하기 위해 높이 제한도 있다. 정해진 부피에 많은 량을 싣어야 한다. 수출입용으로는 컨테이너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역시 정해진 표준 부피(체적)을 가지고 있다.
세번째는 재고를 가지고 있을 수 밖에 없다고 한다면 재고 창고 면적 또는 부피에 최적화된 적재 방법을 검토하여야 한다. 특히 재고는 선입선출 관리가 분명하게 지켜져야 하고, 제조 현장으로 투입하는 단위가 변화하는 작업점이기도 하다. 즉 하자단위에서 그 안에 구성되었던 상자 단위로 변환하는 것이다.(물론 이러한 구성이 아닌 물류도 있다. 하자 단위가 1개의 상자 단위가 되기도 한다.)
네번째는 제조 현장에 작업자가 동작경제원칙에 의거 자재를 꺼내기 쉽고 가까이 배치할 수 있는 포장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 재고 창고에서 작업자에게 운반하는 과정에서 Handling이 쉽고 품질 문제가 없어야 한다.
다섯번째는 운반이나 운송, 상하역 작업 시 자재의 품질 보존이 가능하여야 한다.
제조 공정에서 Conveyer 작업대를 활용하거나 자동화 설비에 의한 운반이 아닌 설비 Batch 방식으로 공정간 이동이 되는 형태의 제조현장이라면 제품 출하용 포장 용기를 공정간 운반 용기로 겸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품 포장이라는 작업 공정을 삭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자재가 제품화 되는 과정에서 이동과 자재 취급, 보관 과정이 존재하는 곳에는 어김없이 포장단위와 방법, 형태에 따라 품질, 작업 시간, 보관 면적, 운송 물류비, 재고 관리의 용이성 등 관리의 대상으로 중요한 위치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 비하여 우리 현장에는 너무도 가벼이 여기고, 전문가가 없는 곳이 많음을 보아 왔다. 물류비를 줄이고, 제조현장의 낭비의 근원인 재고, 운반, 대기 등 낭비를 줄이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길은 포장의 연구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좋은 포장 용기를 사전 점검하는 항목을 사례로 설명하니 참고하여 개선하는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다.
1. 경제성이 좋은가?
1-1 한 번에 많이 운반한다.
1-2 수용 효율이 좋다.
1-3 荷姿용 재료는 요구 기능에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1-4 전용 ,특수 용기로써 표준 용기화 할 수 있는가?
2. 작업성이 좋은가?
2-1 荷姿 전환이 없다.
2-2 부품을 넣고 꺼내기가 용이하다.
2-3 부품 취급이 용이하다.
2-4 다단 적재가 용이하다.
2-5 MODULE로 간주할 수 있다.
2-6 쓰레기의 발생이 작고 ,튼튼하여 파손이 안 된다.
(운반 중에 파손되지 않는 것이 전제)
3. 현품의 품질이 보장되고 있는가?
3-1 흠집 ,파손에 대하여 배려가 되고 있다.
3-2 방습 ,방진에 대한 배려가 되고 있다.
4.수량 관리가 용이한가?
4-1 수용 내용 및 개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5.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가?
5-1 PALLET에 부품을 적재하였을 때 1,000 kg이하 이다.
5-2 BOX류(POLY BOX,단프라)에 부품을 적재하였을 때
15 kg 이하로 되어 있다.
5-3 PALLET류의 높이는 600 mm(PALLET위에서 부터) 이내
로 되어 있다.
5-4 용기를 2단 이상 적재하였을 때 무너지지 않으며 ,
부품이 용기에서 넘쳐 흐르지 않게 되어 있다.